모든 일에 마감시간을 정하라

내용을 읽어보지 않아도 제목만으로 느낌이 오는 책이 있다. 서점 나들잇길에 우연히 만난 『모든 일에 마감일을 정하라』도 그런 책 중 하나다. 경험상, 외부 상황에 의해서든 스스로 뜻에 의해서든 일을 언제까지 끝내겠다고 명시화해두는 것은 분명히 효과가 있다. 미적거리며 마냥 일을 미루는 걸 방지하면서도 사소한 문제에 빠져 하염없이 늘어지지 않도록 막아준다. 그리고 적당한 수준의 제약은 긴장감과 상상력을 자극하여 창의적인 문제 해결을 요구하고 유도한다. 입버릇처럼 너무 바쁘다고 투덜거리지만 정작 시간이 너무 많으면 오히려 일이 잘 안된다는 건 내게 흥미로운 현상이다. 그런데 어디 시간뿐일까.

무슨 자원이건 양이 무한하면 그 소중함을 잊어버린다. 정말로 무한한 자원이면 그래도 된다. 문제는 우리가 그런 착각에 빠져서 혹은 잊고 방치하는 것들이 사실은 무한하지 않다는 것이다. 지금 내가 가지고 있는 것들은 언제까지나 유지될 것이고, 내 곁에 있는 것들은 언제까지나 거기 있을 것이라고 착각까지는 안 하겠지만 그렇다고 그것들이 언젠가 사라질 수 있다는 생각도 좀처럼 안 하며 살지 않던가.

  • 대학원 연구실을 내 집 삼아 살 때는, 동이 틀 때까지 흥미로운 연구 주제에 관해 얘기할 체력과 동료가 당연한 줄 알았다.
  • 몇 년 전 서울에서 권투를 배울 때는, 집에서 3분 거리에 체육관이 있는 게 당연한 줄 알았다.
  • 지금은, 퇴근 후 심심할 정도로 한가한 시간이, 아무 때나 피아노 치러 갈 수 있는 학원이, 또 빨래를 해주는 회사가 당연한 줄 안다.

현재 사용가능한 자원도 임의적인 제약, 이를 테면 언제까지만 쓸 수 있다는 시간 제한을 두면 한결 다르게 보인다. 인터넷 정액제 쓸 때는 무심코 넘기던 웹페이지 하나가 종량제 쓸 때는 무척 소중하게 여겨지는 것처럼, 지금 곁에 있는 사람과 앞으로 함께 할 수 있는 시간을 실제로 세어보면 그 소중함이 새삼 다르게 느껴진다.

이번 주는 그동안 당연하게 여겼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은 것들을 찾아서 감사하는 기간으로 삼을까 싶다. 좋은 계획을 세우는 일은 주어진 자원의 유한함을 깨닫는 데서 출발할 테니까.

blog built using the cayman-theme by Jason Long. LICENSE